시험은 늘 우리와 함께 했습니다.
초등학교 들어가서 받아쓰기를 시작으로 처음 본시험에서 50점을 맞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후로도 수많은 시험을 치렀습니다.
중간고사, 기말고사, 학력평가, 대학입학시험, 체력검정, 입사시험, 자격증 시험 등 다 합치면 엄청난 양일 것입니다.
우리 앞에는 시험이라는 관문이 늘 존재했습니다.
전통적으로 개인 간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시험만큼 공평한 것은 없었기 때문입니다.
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이해와 암기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열심히 공부하는데 성과가 나지 않으면 그것만큼 허탈할 것도 없습니다.
각자 자신만의 방법으로 공부를 합니다.
어떤 사람은 조용한 분위기에서 어떤 사람은 백색소음이 있는 곳에서, 어떤 사람은 필기를 해가며 어떤 사람은 눈으로 보기만 하기도 합니다.
이렇듯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방법으로 공부를 합니다.
공부에 왕도가 있을까라는 의문이 늘 함께합니다.
머리가 좋기 때문에 공부를 잘하는 것은 맞습니다.
또한 머리가 좋기 때문에 공부방법을 효율적으로 했기 때문에 좋은 성적이 나왔을 수도 있습니다.
공부를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할까? 효율적인 방법을 꾸준히 찾아가며 수정 보완해서 나만의 공부방법을 완성시켜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의대생으로 공부방법에 대한 유튜브로 활동 중인 손의찬 님의 '외우지 않는 공부법'을 읽었습니다.
이 책을 통해 공부의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굳이 목차대로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능동감각인 지식을 꺼내어 보는 습관화가 중요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진도는 자신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공부하고 공부 중에도 꾸준히 다시 되새겨 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책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 봅니다.
*합격좌우 공부 3가지 원리 : 목적감각, 순서감각, 능동감각
*중요도 순으로 쪼개서 공부하기
*독해법칙 : 읽는 순서 바꾼다, 요약자료를 본 후 교과서 보기, 저자의 요약이 핵심
*읽었던 내용 떠올려 보라
*떠올리는 것은 다음에 하자, 일단 지금은 진도가 밀렸으니까 → 이런 마음을 극복해야 한다.
*기본서 보는 순서 : 문제 이해법 - 단권화 - 누적복습법 - 회독법
*기출문제를 보면 중요한 문장이 뭔지 알 수 있다
*내가 해설지처럼 혹은 강의처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기출 빈출 문제는 반드시 습득하라
*기출문제 분석은 반드시 직접 하라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중앙재테크박람회 2일차 강연 김상균 경희대교수 강연 (2) | 2025.07.02 |
---|---|
SETEC에서 개최된 2025 중앙재테크박람회 1일차 현장상황과 강연내용 (2) | 2025.07.01 |
(독서후기)화장품 최고 박종대 애널리스트 화장품은 한국이 1등입니다 (2) | 2025.06.23 |
(독서후기)월 50만 원으로 8억 만드는 배당머신 (2) | 2025.06.20 |
체육시설 이용료 문화비 소득공제 시행됩니다. 7월 1일 부터 시행 (1)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