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0 시대 (1)에서 이어집니다.
국제정세
2022년 발발한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세계질서에 새로운 전환을 보여줍니다.
세계 어디에서든 전쟁이 가능하고 여기에서 가장 걱정스러운 곳은 중국과 대만이 전쟁도 가능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 이유는 인류역사상 패권국에 도전하는 국가의 힘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그에 책임을 져야 하는 절대권력 집단의 조급함을 불러옵니다.
이는 어떤 작은 원인에 의해서도 순식간에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1차 세계대전의 예가 그렇습니다.
중국이 그런 예가 될 수 있는 환경적 조건이 갖추어졌기 때문에 위험성은 커지고 있습니다.
지정학적으로 가까운 우리에게도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북한과의 대치도 그렇지만 당장 대만해협을 통해 들어오는 원유의 수입이 크게 차질을 받을 수 있습니다.(원유 99% 수입로)
대만의 자랑인 반도체 파운드리 능력을 중국도 노리고 있습니다.
미국으로서도 그 중요성을 알고 있으며 바이든 시절 때 TSMC공장을 짓도록 만들었습니다.
미국과 대만과의 관계설정 그리고 중국에 대한 압박으로 충돌의 위험성을 인지해야 합니다.
미국과 중국의 충돌 시 가장 중요한 것은 해군력입니다.

현재 미국은 중국에 비해 표면적으로 배의 숫자도 많고 우수해 보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전함은 낙후되어 가고 반대로 중국은 새로운 전함을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해전은 초기에는 선단이 많은 쪽이 우수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중요한 것은 선박의 수리와 건조능력에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미국의 조선업이 붕괴상태에 있다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던 대로 레이건시절에 미국의 모든 제조업이 붕괴되기 시작했습니다.
선박을 건조하고 수리하는 기술자들을 구할 수 없어 현재 전함들도 수리가 늦어지는 현실입니다.
트럼프가 한국의 조선산업에 손을 내민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그래서 최근 조선업 주가들도 많이 오른 상태입니다.
무섭게 뒤쫓아오는 중국의 조선업은 우리 조선업에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해군력에서도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인구문제
인류역사상 가장 풍요로운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세계화 분업화를 통해 값싼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투자와 서비스를 통해 많은 부가 쌓였습니다.
그러나 빈부격차의 극대화로 촉발된 중산층의 몰락과 불만으로 트럼프가 등장하면서 세계최대 부국이자 세계의 경찰을 자처했던 미국이 자국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다른 나라들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럽은 점점가난해지고 있습니다. 그 원인으로 저출산이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20년 전 미국이 합계출산율은 2.1명인데 비해 유럽은 1.4명이었다고 합니다.
그 세대가 청년이 되었습니다.
청년들의 일자리는 값싼 이민자들에게 빼앗기고 세금은 어마어마해지고 있습니다.
청년 한 사람이 감당해야 할 기성세대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는 곧 우리나라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인구의 고령화는 혁신이 없어지고 복지비용이 늘어나면서 국가의 금고는 점점 감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위기감을 가지고 아이들이 많이 태어나도록 최선을 다하는 국가정책이 만들어져야 하고 사회적 분위기도 바꾸어야 합니다.
엔케리 트레이드 가능성
잃어버린 30년으로 대표되는 일본경제. 그 기간 동안 디플레이션이 되면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디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갖가지 수단을 모두 동원했던 일본정부의 노력은 허사로 돌아갔습니다.
그러나 최근 35년 만에 닛케이 지수가 회복되었고 물가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닛케이 지수 상승이 표면적으로는 반가운 일이지만 실질적으로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개인은 20퍼센트가 안된다고 합니다. 부가 개인에게 가지 않고 물가마저 상승하니 실질소득은 감소하는 결과를 만들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맞이한 일본국민들의 살림살이가 나빠져가고 있는 상황에 미국은 금리를 내리려고 합니다.
이는 저금리 때 일본에서 대출을 받아 금리가 높은 미국으로 이동했던 자금들이 다시 일본으로 돌아오는 엔케리트레이드의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렇게 되면 미국시장에서 자금이 빠져나가 수년간 올랐던 미국시장에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한국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박종훈 기자의 '트럼프 2.0 시대' 최고였다
앞서 이야기했듯이 미국은 자국에 제조업을 유치하려 강한 압박을 해왔습니다.
제조업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는 수십 년간 공장을 중국, 베트남, 미국에 지어왔습니다.
따라서 자국 내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는 많이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청년들이 일하고 싶은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야 합니다.
트럼프 2.0 시대를 읽으면서 에너지 문제에 관해서도 많은 공부가 되었습니다.
투자에 관해서도 버핏이 에너지주를 투자하는 방법도 좋은 힌트가 되었습니다.
박종훈 기자의 이 책은 두 번째 트럼프 시대를 맞이하여 정치, 경제, 사회에 어떤 영향이 우리에게 올 것인가를 많은 정보와 지식 그리고 통찰력을 통해 우리에게 알려주고 크게는 국가 작게는 개인이 취해야 할 준비에 대한 좋은 지침서입니다.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아빠가 자녀에게 들여주는 돈 이야기 부자아빠의 돈 공부 (1) | 2025.03.19 |
---|---|
깔끔한 부천 순대국 맛집 인하찹쌀순대 (1) | 2025.03.18 |
트럼프 2기 핵심 분석 박종훈 기자의 트럼프 2.0 시대 독서 후기(1) (5) | 2025.03.16 |
(독서 후기) 레프 톨스토이 살아갈 날들을 위한 공부 (3) | 2025.03.14 |
국립중앙박물관 인도, 동남아시아관 관람 (2) | 2025.03.13 |